반응형 적천수3 [책 초고] 주요 사주명리 고전 안녕하세요. 사공입니다.책 내용 중에 일부를 공개합니다. 명리 고서를 공부하실 때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요 사주명리 고전 사주명리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학문입니다. 우리가 배우는 자평명리학은 서자평의 이론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많은 명리학자들이 각자의 이론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사주명리를 공부하다 보면 다양한 명리 고전 이론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고전 이론은 입문과 초급 단계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지만, 중급 이상의 본격적인 통변 학습에서는 많은 도움이 됩니다. 명리학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주요 명리 고전과 이들의 발전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설명 중에 어려운 용어가 있을 수 있으니, 교양 서적을 읽듯 가볍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삼명학(三命學).. 2024. 7. 30. [중급] 체용론(體用論) 4편 - 체용과 고전 안녕하세요. 사주공부입니다. 체용론은 유교, 불교, 도가(선) 등 동양 철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론입니다. 체를 본체로 보고 용을 쓰임새로 보는 기본적인 개념은 비슷하지만 각 철학 사조마다 구체적인 체용의 의미가 조금씩 다릅니다. 또한 명리학에서도 긴 역사만큼 시기와 학자에 따라 바라보는 입장의 차이가 있는 이론입니다. 물론 제가 바라보는 체용 또한 다른 학자나 술사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용론과 관점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은 명리 고전의 해석 차이, 동양 철학을 바라보는 관점과 여러 인문학적 요소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체용론이 발전한 역사와 적천수를 중심으로 체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철학자도 아니고 전공자도 아니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 2022. 3. 15. 사주 기초 심화 - 지지 통변 상편 (지지 복습과 명리 고전) 안녕하세요. 사주공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지난번 천간에 이어 지지 통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지는 여러 기운이 모여 있는 것으로 천간보다 통변이 복잡하고 난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천간과 지지를 잘 구별하고 오행 생극제화가 아닌 계절 운동과 삼합 운동에 대한 이해가 밑바탕 된다면 무난하게 따라오실 거라 생각합니다. 자, 그럼 지지 시작해 보겠습니다. https://www.sajustudy.com/29 사주명리 입문 - 지지(地支) 지지(地支) 지지(地支)는 지(地)는 ‘땅 지’와 지(支) ‘가를 지’로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의 변화(계절과 일시)를 12개로 구분한 것으로 12지지(十二地支), 12지(十二支) 라고도 합니 www.sajustudy.com https://www.sajustudy.co.. 2021. 10.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