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 중급/중급

[중급] 십성 인성론 2편 - 편인(偏印)과 고전 & 효신살(梟神煞)

by 사공(思工) 2022. 4. 6.
반응형

편인

 

 

안녕하세요. 사주공부입니다. 오늘은 저번 정인에 이어 편인 고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난 정인편과 마찬가지로 연해자평과 명리약언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고전에서 편인은 4흉신 중 하나로 식신을 잡는다고 하여 도식(倒食), 탄담(吞啗煞), 효신(梟神) 등으로 불리며 주로 부정적인 특징을 부각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신, 재성과 같이 있는 경우를 사례로 들기 때문에 이 부분은 감안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인성 심화 학습 목차]
1. 십성 인성론 1편 - 정인(正印)과 고전
2. 십성 인성론 2편 - 편인(偏印)과 고전
3. 십성 인성론 3편 - 오행과 인성(印星)
4. 십성 인성론 4편 - 근묘화실과 인성(印星)
5. 십성 인성론 5편 - 인성(印星)과 다른 십성 관계

 

 


연해자평(淵海子平)과 편인(偏印)​

 


논도식(論倒食) ​

 

[도식과 특성]

夫倒食者 沖財神之謂也 一名吞啗煞
부도식자 충재신지위야 일명탄담살
무릇 도식(편인)은 재성을 충하는 것을 말한다. 일명 탄담살이라고 한다.

※ 탄담살: 편인이 식신을 극하여 도식하는 것을 탄담살(呑淡煞)이라고 합니다. 탄담살이 사주에 있으면 편인이 생왕한 곳에 있으면 계모를 맞거나, 고과살이 함께 있으면 남의 집 양자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또는 본가에 있지 못하고 남의 집에 지내거나 유학을 할 수 있고, 집안사람들이 흩어지는 등 가족이 생사이별 한다고 합니다.

用財神大忌見之 用食神亦忌之
용재신대기견지 용식신역기지
재성을 쓰는 사주에서 이 글자(도식)가 보이면 크게 꺼리고 식신을 쓰는 사주에서도 역시 꺼린다.​

倒食者 如甲見壬之類
도식자 여갑견임지류
도식은 예를 들어 갑목이 임수를 보는 것과 같은 유형이다.

​如甲見丙爲食神 能生土財
여갑견병위식신 능생토재
갑목이 병화를 보게 되면 식신이 되어 능히 토 재성을 생한다.

然壬剋丙火 丙火不能生甲木之土財
연임극병화 병화불능생갑목지토재
하지만 임수(도식)가 병화를 극하게 되면 병화는 갑목의 재성인 토를 생할 수 없게 된다.

所謂甲用食神 大忌見之
소위갑용식신대기견지
이런 이유로 갑이 식신을 쓰려고 할 때 도식을 보면 크게 싫어하는데

凡命中帶此二者 主福淺壽薄
범명중대차이자 주복천수박
무릇 명(命) 중에 (식신과 도식) 두 글자가 같이 있으면 복이 적고 수명도 짧게 된다.​

又見庚爲七殺 得丙丁火制之 怕見水反爲禍矣
우견경위칠살 득병정화제지 파견수반위화의
또 경금을 보면 칠살이 되는데 병정화를 얻으면 제(制)할 수 있는데 이때 수(水)를 보면 반대로 화를 입을 수도 있다.

 

 

[도식을 극하는 경우]
凡命中犯此者 猶尊長之制我身 不得自由也
범명중범차자 유존장지제아신 부득자유야
무릇 명 중에 이(도식)를 범(犯) 하면 웃 어른이 내 몸을 제재하는 것과 같아 자유롭지 못하다.

作事進退悔懶 有始無終 財源屢成屢敗
작사진퇴회라 유시무종 재원누성누패
따라서 매사에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잘 결정하지 못하고 일처리가 나태하여 재물을 모아 성공했다가 실패하기를 여러 번 반복하기도 한다.

容貌攲斜 身品矮小 膽怯心慌 凡事無成也
용모기사 신품왜소 담겁심황 범사무성야
용모는 선천적으로 기형이나 일그러짐이 있고 몸이 왜소하고 담이 약해 겁이 많고 마음이 조급하니 모든 일에 성취를 이루기가 힘들다.

 

 

[도식 예시]
丁 己 丁 丁
卯 亥 未 未​

此命己亥日 己臨亥上 身弱於亥
차명기해일 기림해상 신약어해
이 명식은 일주가 기해일인데 기토가 해수 위에 있으니 해수에서 (기토가) 신약이 된다.​

加以亥卯未木局剋身 年月時透出三丁食己
차이해묘미목국극신 년월시투출삼정식기
더불어 해묘미 목국이 일간을 극하고 년월시 천간에 3개의 정화가 투출하여 기토를 잡아먹었다.​

幼年行南方運 賴火生土 身猶旺
유년행남방운 뇌화생토 신유왕
유년기에 대운이 남방으로 흐르니 (기토가) 화(火)생토로 힘을 얻어 일간이 크게 왕하게 되었다. ​

纔交乙巳運 爲己之七殺 引出亥卯未木局 歲運癸亥 所以死矣 
재교을사운 위기지칠살 인출해묘미목국 세운계해 소이사의
을사대운에 이르면 기토의 칠살(편관 을목)이 되는데 해묘미 목국으로 (을목이) 인출(투출) 되었으며, 세운 계해년에 이러한 연유로 죽게 되었다.​

此命非但倒食七殺之禍 而癸亥年與生殺壞印之說同義也
차명비단도식칠살지화 이계해년여생살괴인지설동의야
이 명은 단지 도식과 칠살(편관)에 의한 화액뿐만 아니라 계해년은 재생살의 설(說)과 괴인(재극인)에 대한 설(說)에 동의하는 바이다.​


壬 甲 丙 甲
申 戌 寅 戌​

此命甲戌日 甲見丙食神
차명갑술일 갑견병식신
이 명은 갑술일에 태어났는데 갑목이 병화를 보아 식신격이 되었다. ​

生於正月 甲木旺身與食神俱旺
생어정월 갑목왕 신여식신구왕
정월에 출생하여 갑목 일간과 식신 모두 왕성하다.

本是貴命 不合時上壬申
본시귀명 불합시상임신
본래 이 명은 귀한 명인데 생시가 임신(임수 도식, 수극화)이라 (식신격과) 불합한다. ​

壬水傷其丙火 申金沖其寅木
임수상기병화 신금충기인목
임수가 병화를 상하게 하고 신금이 인목을 충하며​

又申中有庚七殺 所以利名無成
우신중유경칠살 소이이명무성
또한 신중에 칠살 경금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명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行己巳運 金生之地 見庚子年
행기사운 금생지지 견경자년
기사대운에 이르러 금의 장생지(사화)가 되었는데 경자년이 되니

​庚金爲七殺 又見子水 死於非命
경금위칠살 우견자수 사어비명
경금은 칠살이 된다. 또 자시에 이르러 물을 보아 비명횡사하였다.(물에 빠져 죽음)

 

 


명리약언과 편인(偏印)​

 


편인부(偏印賦)​

 

[편인이란]
陰來生陰 陽來生陽 是乃偏氣之養育 非同正印之慈祥
음래생음 양래생양 시내편기지양육 비동정인지자상
(편인은) 음이 올 때 음, 양이 오면 양으로 이것은 치우친 기운으로 양육하는(생하는) 기운인데 정인의 자상함과 같지 않다.

丙遇甲寅兮 及亥中之甲 皆賴之以生燄
병우갑인폐 급해중지갑 개회지이생염
병화가 갑인을 만나고 해중의 갑목까지 모두 거기(갑, 인)에 의지하여 불꽃을 낸다.​

丁逢乙卯兮 及辰未之乙 均依之以發光
정봉을묘혜 급진미지을 균의지이발광
정화가 을묘를 만나고 진미중의 을목에 이르기까지 똑같이 거기에 의지하여 빛을 발생한다.​

(假如丙火日干 以甲木爲偏印 寅亥兩支 所藏甲木 亦偏印也
(가여병화일간 이갑목위편인 인해양지 소장갑목 역편인야 
가령 병화일간은 갑목이 편인인데 인해(寅亥) 두 지지에 소장된 갑목 역시 편인이며

丁火日干 以乙木爲偏印 卯辰未三支 所藏乙木 亦偏印也)
정화일간 이을목위편인 묘진미삼지 소장을목 역편인야
정화일간은 을목이 편인인데 묘진미(卯辰未) 세 지지에 소장된 을목 역시 편인이다.​

 

 

[편인의 특성]
惟剋食最凶 故有梟神之號
유극식최흉 고유효신지호
생각컨데 편인은 식신을 극하여 가장 흉하며 효신(梟神)이라고 불리나

倘生身有用 亦爲佐主之良
당생신유용 역위좌주지량
만일 일간(身)을 생하는데 쓸모 있다면 역시 일주(主)를 보좌하는 어짐이 있고,​

惡煞得之而化其暴悍 傷官用之而禦其強梁
악살득지이화기폭한 상관용지이어기강량
악살(惡煞, 나쁜 살)이 있으면 (악살의) 그 흉포함을 중화(化) 시키고 상관을 막는데 쓰기 때문에 일주에게 강한 대들보(기반)가 되기도 한다.

​身旺食輕 逢之而必遭吞啖 官多印缺 借之而亦榮昌
신왕식경 봉지이필조탄담 관다인결 차지이역영창
신왕하고 식신이 가벼울 때 이것(편인)을 만나면 그 식신은 반드시 통체로 삼켜지게 되지만(탄담) 관이 많고 인이 모자라는 경우 반대로 이것(편인)을 빌려 쓰면 영화롭고 창대할 것이다.

​若甲丙生亥寅之月 庚壬產巳申之方 理取長生 不以偏論 根同真母 豈作梟詳
약갑병생해인지월 경임산사신지방 리취장생 불이편론 근동진모 기작효상
만약 갑목, 병화 일간이 해수(亥月), 인목(寅月)에 태어나고, 경금, 임수가 사화(巳月), 신금(申月)의 방향(月)에서 태어나면 장생의 이치로 보아 편향되지 않게 보는 것인데 이처럼 근본이 참된 어미와 같은데 어찌 작효(효신살)라고 할 수 있는가?

※ 문장 내에서는 편인의 짝이 불분명해 헷갈리는데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갑목 - 해수, 병화 - 인목, 경금 - 사화, 임수 - 신금 
※ 저자는 여기서 편향된 것은 편인을 효신으로 보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편인으로 인한 문제에 대해]
日干太旺兮 有梟愈增其亢厲
일간태왕혜 유효유증기항여
일간이 태왕할 때 효신이 있으면 그것(일간)을 증가시켜 화를 더욱 높이고,​

比劫爲患兮 得梟益助其猖狂
비겁위환혜 득효익조기창광
비겁이 근심거리 일 때 효신을 얻으면 그것(비겁)을 더욱 미쳐 날뛰게 도울 것이다.​

求以制梟 偏財勝於正財 較爲有力
구이제효 편재승어정재 교위유력
효신을 억제할 때는 편재가 정제보다 나아서 비교적 힘이 있고

依之爲命 偏印同於正印 不可遭傷
의지위명 편인승어정인 불가조상
편인에 의지하는 명이면 편인과 정인이 똑같으므로 상하지 않아야 한다.​

食神入格兮 見梟深愁損害
식신입격혜 견효심수손해
식신이 격에 해당하면 효신을 보면 손해를 근심해야 하고

梟神結黨兮 得食立見災殃
효신결당혜 득식립견재앙
효신이 무리를 이루었을 때 식신을 만나면 곧바로 재앙을 보는 것이니 ​

原局固斯取斷 運途亦如此酌量
원국고사취단 운도역여차작량
원국에서도 진실로 판단하여 취하고 운에서도 역시 이와 같이 참작하여 헤아리면 된다.

 

 


효신과 효신살에 대해​

 

많은 고전에서 편인은 효신, 도식, 탄담살, 작효 등으로 부르며 좋지 않게 봅니다. 그중에서 효신은 편인의 별명처럼 많이 쓰는데 신살 중에는 같은 이름을 가진 효신살이 있습니다. 효신과 효신살은 용어는 비슷하지만 많은 부분이 다르다고 보면 되는데 이 부분만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1) 효신(梟神)
효신(梟神)은 올빼미 효(梟)와 귀신 신(神)자를 써서 올빼미 신이라는 뜻입니다. 중국에서 동방불인지조(東方不仁之鳥)라고 하여 새끼가 어느 정도 성장 이후 어미 새를 쪼아 먹고산다는 패륜적인 새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유교적 관점이고 실제로도 그런 새는 아니라고 합니다)​

효신은 고전에서 많이 불리는 편인의 별명입니다. 편인의 별명 중 도식 다음으로 많이 쓰인다고 보면 됩니다. 효신=편인은 동일하다고 보면 되고 사주 중 편인이 있으면 그것을 효신이라고 부릅니다.

◎ 甲 ◎ 壬 ← 임수 효신
◎ ◎ ◎ ◎


◎ 甲 ◎ ◎
◎ ◎ 亥 ◎ ← 해수 효신


명리약언에서는 위와 같은 편인은 갑목의 뿌리가 되는 장생지가 되는데 효신이라 부르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 효신살(梟神煞)

효신은 편인이라면 효신살은 일지에 정인, 편인을 놓은 일주 12개를 일컫는 말입니다. 

효신살 12개 일주

갑자(甲子), 을해(乙亥)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오(戊午), 기사(己巳)
경진(庚辰), 경술(庚戌)
신미(辛未), 신축(辛丑)
임신(壬申), 계유(癸酉)

효신살의 특성

· 사주에 효신살이 있으면 어머니와 사이가 안 좋고 어머니와 인연이 약해 생사이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남자의 경우 아내와 어머니가 고부 갈등이 있을 수 있는데 원인은 어머니의 지나친 참견, 과보호, 아내의 역할이 축소, 독립성 결여 등 주로 많은 결정을 어머니에게 의지(마마보이) 하는 경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 여자의 경우 시어머니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형제 중 주로 내가 주로 어머니를 챙겨야 하는 상황이 많아 이로 인한 어머니와의 갈등과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일지의 인성은 식상과 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식의 여러 문제(생사이별, 건강, 분리) 등이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관련 링크

 

https://www.sajustudy.com/52

 

사주 초급 - 십성 인성(印星) · 편인(偏印) · 정인(正印)

인성(印星)은 일간(나)을 생(生)하는 간지(干支, 천간과 지지)로, 음양이 같은 편인(偏印)과 음양이 다른 정인(正印)을 함께 일컫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일간 갑목(甲木)은 천간 임

www.sajustud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