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주공부입니다.
지난 정관에 이어 편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해자평 계선편(繼善篇)의 편관론(偏官論)을 참고하여 공부합니다. 이번 연해자평은 아래 참고 서적을 참고하였고 제 개인 의견으로 의역되었습니다.
[참고 서적]
연해자평 완역정해 상 - 정진엽 저 | 이헌 출판사
이번 포스팅은 참고로 연해자평 편관론에서는 편관(偏官)과 칠살(七殺)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연해자평에서는 편관을 막연히 나쁘다고 본 것이 아니라 편관의 제어 여부에 따라 편관과 칠살로 나누고 편관은 귀하게 쓰이고 있음을 알려 줍니다. 그 포인트를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계선편: 논편관(論偏官)
편관이란?
卽七殺
즉칠살
(편관은) 곧 칠살이다.
夫偏官者 蓋甲木見庚金之類
부편관자 개갑목견경금지류
무릇 편관은 갑목이 경금을 보는 경우와 같고
陽見陽 陰見陰 乃謂之偏官 不成配偶猶如
양견양 음견음 내위지편관 불성배우유여
양이 양을 보고 음이 음을 보는 것을 편관이라 하고 짝을 이루지 못한 것과 같다.
※ 배우(配偶): 음양이 짝을 이룬 관계
經言 二女不能同居 二男不可並處是也
경언 이녀불능동거 이남불가병처시야
경에 이르기를 “두 여자가 같이 살 수 없고 두 남자가 함께 거처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편관의 통제
偏官即七殺 要制伏
편관즉칠살 요제복
편관은 칠살로 제복(굴복시킴)이 필요하다.
蓋偏官七殺即小人
개편관칠살즉소인
대개 편관과 칠살은 소인이다.
小人無知 多凶暴 無忌憚
소인무지 다흉폭 무기탄
소인(편관)은 무지하고 흉폭함이 많고 거리낌과 두려움이 없다.
乃能勞力以養君子
내능노력이양군자
그래서 능히 군자를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而服役護御君子者 小人也
이복역호어군자자 소인야
또한 군자를 위해 호위하는 자가 소인(편관)인데
惟是不懲不戒 無術以控制之 則不能馴伏而爲用
유시불징불계 무술이공제지 즉불능순복이위용
이를 징계하지 못하고 통제할 방법이 없으면 즉 길들여 사용할 수 없다.
(편관을 제어하지 못하는 사용할 수 없음)
故楊子曰 御得其道 則馴伏或作使
고양자왈 어득기도 즉순복혹작사
그러므로 양자가 말하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얻으면 길들여 복종하고 혹은 순종하게 하여 부릴 수 있지만
御失其道 則狙詐或作敵
어실기도 즉저사혹작적
제어하는 방법을 잃으면 교활하고 속이거나 또는 적을 만들게 된다.”라고 하였다.
小人者狙詐也 要控御得其道矣
소인자저사야 요공어득기도의
소인은 교활하고 속이니 그 도를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고
一失控御 小人得權 則禍立見矣
일실공어 소인득권 즉화립견의
단 한 번이라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면 소인이 권력을 얻어 바로 재화를 보게 된다. (편관이 권력을 휘두르게 됨)
經曰 人有偏官 如抱虎而眠
경왈 인유편관 여포호이면
경에서 말하기를 “사람이 편관을 가지면 호랑이를 안고 자는 것과 같고,
雖借其威 足以攝羣畜
수차기위 족이섭군축
비록 그(편관의) 위엄을 빌려 충분히 가축들을 다스릴 수 있지만
稍失關防 必爲其噬臍 不可不慮也
초실관방 필위기서제 불가불려야
관문(편관을 통제하는 것)을 조금이라도 잃는다면 반드시 후회하게 될 것이니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하였다.
편관의 제복에 대해
如遇三刑俱全 羊刃在日及時
여우삼형구전 양인재일급시
만약 삼형이 모두 있고 양인이 일과 시에 함께 있거나,
又有六害 複遇魁罡相冲
우유육해 복우괴강상충
또한 육해가 있는데 괴강이 상충하여 겹쳐 있으면
如是人之凶不可具述
여시인지흉불가구술
어찌 그 사람의 불길함(흉)을 말로 다할 수 있을까?
制伏得位 運復經行 制伏之鄕 此大貴之命也
제복득위 운부경행 제복지향 차대귀지명야
제복함이 자리를 잡고, 운에서 다시 제복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이는 대귀하는 명이다.
苟於前者 凶神俱聚 運遊殺旺之鄕
구어전자 흉신구취 운유살왕지향
진실로 전자처럼 흉신이 함께 모여 있고, 관살이 왕한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凶害有不可言者可知也
흉해유불가언자하지야
흉하고 해로움을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如有一殺 而制伏有二三
여유일살 이제복유이삼
만약 관살이 하나만 있고 제복하는 오행이 둘셋 있는데
複行制伏之運 反不作福 何以言之
복행제복지운 반불작복 하이언지
다시 제복하는 운으로 흐른다면 오히려 복을 받지 못하니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蓋盡法無法 雖猛如狼 不能制伏矣
개진법무법 수맹여랑 불능제복의
대개 모든 법(편관)이 사라져 없어지면 (제복하는 오행이) 사나운 늑대와 같아 제복이라 말할 수 없을 것이다.
是又不可專言制伏
시우불가전언제복
이 또한 오로지 제복이라는 말을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의역: 이또한 오로지 편관의 제복이 최선이다 하기 어렵다.)
要須輕重得所 不可太甚 亦不可不及
요수경중득소 불가태심 역불가불급
반드시 중요한 것은 (오행의) 경중을 따지는 것인데 너무 지나치거나(강하거나) 너무 부족해도 안 된다.
須仔細審詳而言 則禍福如影響矣
수자세심상이언 즉화복여영향의
반드시 세심하고 꼼꼼하게 살피고 헤아려 말하자면 즉 재앙과 복됨은 이와 같은 (오행의 경중에 의한) 영향에 의한 것이다.
又云 有制伏則爲偏官 無制伏則爲七殺
우운 유제복즉위편관 무제복즉위칠살
또 제복을 할 수 있으면 편관이고 제복을 할 수 없으면 칠살이라고 하는데
譬諸 小人禦之 得其道則可使 失其道則難敵
비제 소인어지 득기도즉가사 실기도즉난적
예를 들어 소인(편관을 소인이라 함)일지라도 도를 얻으면 사용할 수 있지만 도를 잃으면 싸우기 어렵게 되는데
在吾控禦之道何如耳
재오공어지도하여이
(편관을) 통제 방법이 어쨌든 나에게 있다고 할 수 있다.
편관이 과연 나쁜 것인가?
凡見此殺 勿便言凶
범견차살 물변언흉
무릇 이 관살(편관)을 보면 흉하다 말하지 말라.
殊不知 帶此殺者 多有貴命
수부지 대차살자 다유귀명
의외로 관살(편관)을 가진 사람 중 귀명이 많다.
편관이 흉한 경우
如遇三刑六害 或羊刃魁罡相沖
여우삼형육해 혹양인괴강상충
만일 (편관이) 삼형, 육해를 만나고 혹은 양인, 괴강이 상충하면
※ 기본적으로 연해자평은 양간 양인만 인정합니다. 양간 양인은 자오묘유만 올 수 있는데 지지가 진토, 술토인 괴강과 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혹은 양인, 괴강이 상충하면”을 풀어 써 본다면 “양인인 편관이 충하거나 괴강인 편관이 충할 때”로 해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음간 양인도 인정합니다.
정리하자면
① 편관이 형에 놓인 경우
② 음일간 편관이 육해(자오묘유)인 경우
③ 사주 내에서 편관 양인(자오묘유)이 충한 경우
④ 임진 일주 괴강이 사주내에서 술토와 충한 경우
○ 甲 ○ ○
○ 申 巳 寅
- 편관이 삼형과 있을 때
- 사화와 인목이 신금 편관을 제복해야 하는데 형으로 인해 제복하지 못함
○ 癸 ○ ○
○ 丑 戌 酉
- 편관이 삼형과 있을 때
- 유술반합 금국이 축토를 설기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형으로 인해 제복하지 못함
- 음간 양인도 인정한 경우 계축 양인에 삼형까지 있는 경우
○ 辛 ○ ○
○ 亥 午 ○
- (일주 기준) 편관이 육해인 경우
- 운에서 해묘미 목국으로 흐르면 목생화로 편관 오화가 강해짐
○ 己 ○ ○
○ ○ 卯 辰
- (년주 기준) 편관이 육해인 경우
- 운에서 해묘미 목국으로 흐르면 목생화로 편관 오화가 강해짐
○ 乙 ○ ○
○ ○ 酉 巳
- (년주기준) 편관이 육해인 경우
○ 壬 ○ ○
○ 辰 戌 ○
- 편관 괴강이 만나 충한 경우
如是之凶 不可謂之制伏
여시지흉 불가위지제복
이는 흉한 것과 같아 제복이라 말할 수 없다.
※ 사주 내에서 편관과 형충하거나 편관이 양인, 육해에 해당하거나 괴강 임진일주가 충한 경우는 제복하는 오행(인성 또는 식상)이어도 제복이라 할 수 없다. - 제복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운에서 편관이 들어온 경우
但運行制伏 此貴人命也
단운행제복 차귀인명야
하지만 운이 제복으로 흐른다면 이는 귀인의 명이라 할 수 있다.
※ 운에서 제복운(인성, 식상)이 온다면 귀명이라 할 수 있다.
苟如前凶神俱聚 其運複行殺旺之鄕 禍不可勝言
구여전흉신구취 기운복행살왕지향 화불가승언
하지만 위와 같이 흉신이 모두 모이고 그 운이 관살이 왕해지는 방향으로 겹쳐 흐르면 화(재앙)는 이루다 말할 수 없다.
※ 하지만 충, 형, 육해, 괴강에 편관운으로 흐르면 흉하다.
大抵偏官七殺 最喜身旺 有制伏爲妙
대저상관칠살 최희신왕 유제복위묘
대체로 보아 상관, 칠살은 신왕을 좋아하고 제복이 있으면 빼어난데
元有制伏 可行殺旺之方 元無制伏 可行制伏之運
원유제복 가행살왕지방 원무제복 가행제복지운
원래 제복이 있으면 칠살이 왕한 방향으로 흐르면 좋고 제복이 없다면 제복하는 운으로 흐르면 좋다.
身旺化之 得爲偏官 身弱無制伏 則爲七殺
신왕화지 득위편관 신약무제복 즉위칠살
신왕하면 칠살이 화(化)하여 편관이 되며, 신약하고 제복하지 못하면 칠살이 된다.
制伏複行制伏運 謂之太過 則爲偏官無餘燼矣
제복부행제복운 위지태과 즉위편관무여신의
제복이 다시 제복 운으로 겹치면 너무 과하여 아무리 편관이라 하여도 불타 재도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월지 편관에 대해 (편관격)
月中之氣 怕冲與羊刃
월중지기 파충여양인
월(지) 중에 (있는 편관) 기운은 충을 하거나 양인이 있음을 두려워하고
其本身弱 若殺强則難制
기본신약 약살강즉난제
신약한데 (월지) 편관이 강하면 제복하지 쉽지 않다.
如身强殺淺 則是假殺爲權刃
여신강살천 즉시가살위권인
만약 신강하고 (월지) 편관이 약하면 편관을 이용해 양인이 권세를 잡으니
如或時七殺 不怕羊刃與冲 宜詳之
여혹시칠살 불파양인여충 의상지
만약 칠살(편관)이 양인이나 충을 만나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마땅히 “상서롭다(길조)” 할 수 있다. (詳 상서로울 상)
※ 편관은 전체적으로 신강, 신약 여부가 중요합니다.
계선편: 論七殺 (칠살론)
연해자평에서는 편관과 칠살을 구분합니다. 한마디로 편관을 버틸 수 있고 제복할 수 있으면 편관, 신약하고 제복하지 못하면 칠살로 봅니다.
신왕하고 편관과 관련되어 흉한 것(형, 충, 괴강, 육해 등)이 없고 제복하여 통제한다면 일간이 권력을 휘두를 수 있는 귀명이 됩니다. 신약에 편관이 불안하고(형, 충, 괴강, 육해 등) 제복하지 못하면 칠살이 되어 도리어 일간은 칠살의 강한 권력에 휘둘리게 됩니다.
정관은 소속과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나를 지켜주는 안정감이지만, 편관은 사주에서 어떤 구성으로 이루어졌느냐에 따라 그 강력한 권력을 내가 휘두를지 남이 휘두를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편관이 있다고 무조건 나쁘게 보아도 안 되고, 권력이 있다고 좋게 보아도 안 됩니다. 그리고 운에 따라 편관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자 그럼 연해자평에서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칠살이란?
夫七殺者 亦名偏官
부칠살자 역명편관
무릇 칠살은 다른 이름으로 편관이라고 하는데
喜身旺合殺 喜制伏 喜羊刃
희신왕합살 희제복 의양인
신왕하여 합살(합하여 칠살 묶음)하는 것을 반기고 제복과 양인을 기뻐한다.
忌身弱 忌見財生 忌無制
기신약 기견재생 기무제
신약함을 싫어하고 재성이 생하는 것과 제복하는 기운이 없음을 싫어한다.
身旺有氣爲偏官 身弱無制爲七殺
신왕유기위편관 신약무제위칠살
신왕 한데 칠살이 있으면 “편관”이라 하고, 신약 한데 제복하는 기운이 없으면 “칠살”이라고 한다.
편관의 길흉
凡有此殺 不可便言凶
범유차살 불가편언흉
일반적으로 사주에 칠살이 있으면 치우쳐 흉하다고 하는데
有正官不如有偏官 多有巨富大貴之人
유정관불여유편관 다유거부대귀지인
(사주에) 정관이 있는데 편관만 못한 경우가 있고, 큰 부자나 귀인 중 많은 사람들에게 편관이 있는 경우가 있다.
惟其身旺合殺爲妙
유기신왕합살위묘
단지 신왕하고 합살(편관이 합이 된 경우)되면 특별해지는데
如甲以庚爲七殺 喜丙丁制之
여갑이경위칠살 희병정제지
예를 들어 갑목에 경금이 칠살인데 병정화가 제복함을 좋아하고
乙合之 謂之貪合忘殺
을합지 위지탐합망살
을목이 합하는 것을 “탐합망살”이라고 한다.
七殺卻宜制伏 亦不要制之太過
칠살각의제복 역부요제지태과
칠살은 제복함이 마땅한데, 그 제복함이 너무 많으면 안 되는데,
蓋物極則反爲禍矣
개물극즉반위학의
이는 모든 만물이 극에 이르면 반대로 재앙이 되기 때문이다.
身旺又行 身旺之運爲福
신왕우행 신왕지운위복
신왕한데 또 신왕한 운으로 흐른다면 복이 될 수 있지만
如身弱又行 身弱之鄕 禍不旋踵
여신약우행 신약지향 화불선종
신약한데 신약운으로 흐른다면 화가 그치지 않는다.
四柱中 元有制伏 喜行七殺運
사주중 원유제복 희행칠살운
사주 원국에 제복하는 기운이 있으면 칠살운으로 흘러가도 기뻐하고
元無制伏 七殺出爲禍
원무제복 칠살출위화
원국에 제복하는 기운이 없으면 칠살운이 왔을 때 재앙이 된다.
如行身旺鄕 更有羊刃 貴不可言
여행신왕향 갱유양인 귀불가언
(신약한데) 신왕한 운으로 흐르고 양인이 있으면 귀하게 됨은 말할 수 없을 정도다.
但忌財旺 財能生殺故也
단기재왕 재능생불고야
단, 재성이 왕성함은 꺼리는데 재성은 칠살을 생하기 때문이다.
歲運臨之 身旺亦多災 身弱尤甚
세운임지 신왕역다재 신약우심
신왕하더라도 세운(년운)이 재성운이면 역시 재앙이 많고, 신약하면 더욱 심하다.
편관 일주의 성향
甲申 乙酉 丁丑 戊寅 己卯 辛未 癸未 此七日生坐殺
갑신 을유 정축 무인 기묘 신미 계미 차칠일생좌살
갑신일, 을유일, 정축일, 무인일, 기묘일, 신미일, 계미일 이 7일에 태어난 사람은 일지에 칠살이 앉아 있으니
※ 정축, 신미일은 지장간에 계수와 정화가 있고 사주 원국이나 운에서 자수, 오화와 육합을 하기 때문에 강한 편관 성향을 띠기 때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性急伶俐 心巧聰明
성급영리 심교총명
성격이 성급하고 영리하며, 심히 교묘하지만 총명하다.
근묘화실에 따른 칠살 영향력
如見殺多者 主人凶 夭貧薄
여견살다자 주인흉 요빈박
예를 들어 칠살이 많은 사람은 흉함이 많고, 일찍 죽거나 가난하고 박복한데
月見之重 時見之輕 何也
월견지중 시견지경 하야
월주에 있으면 (영향력이) 크고, 시주에 있으면 (영향력이) 작으니 왜 그럴까?
曰 七殺只一位見之
왈 칠살지일위견지
답하기를 칠살은 사 주 내에 한 곳(글자)에만 있어야 하는데
如年時再見 殺多爲禍
여년시재견 살다위화
년(年)이나 시(時)에 또 있으면 칠살이 많아 재앙이 된다.
卻要制伏之鄕 又要身旺
각요제복지향 우요신왕
이런 경우 제복운으로 흘러야 하고 신왕해야 한다.
有制伏爲權 最怕沖與羊刃大凶
유제복위권 최파충여양인대흉
제복하는 기운이 있으면 권위가 되고 가장 두려워할 것은 칠살이나 양인을 충하는 것으로 이는 대흉이다.
時七殺只一位 要本身旺
시칠살지일위 요본신왕
시주에 칠살이 하나 있으면 사주 원국이 신왕해야 한다.
칠살과 행운
如年月時三處有制伏爲福
여년월시삼처유제복위복
만약 년월시 삼주에 제복하는 기운이 있으면 복이 되지만
卻要行殺旺運 運三合得地亦發
각요행살왕운 운삼합득지역발
이런 경우 칠살이 왕한 운으로 흐르거나 운에서 삼합지로 흘러가야 그 역시 발복한다.
若無制伏 則要行制伏爲福
약무제복 즉요행제복위복
만약 (사주에) 제복하는 글자가 없다면 제복하는 운으로 흘러야 복이 된다.
行殺旺運無制伏 則禍作
행살왕운무제복 즉화작
(그리고) 칠살이 왕한 운에 제복하는 기운이 없으면 재앙이 일어난다.
時上七殺 卻不怕羊刃 而亦不畏沖
시상칠살 각불파양인 이역불외충
시주의 칠살은 양인을 두려워하지 않고 충 또한 두려워하지 않는다.
신왕합살 사주의 예
如 辛丑 乙未 乙卯 丙子 此命身旺
여 신축 을미 을묘 병자 차명신왕왕
예를 들어 신축년 을미월 을묘일 병자시는
丙 乙 乙 辛
子 卯 未 丑
此命身旺 生於六月之中 歲干透出辛丑爲七殺
차명신왕 생어육월지중 세간투출신축위칠살살
이는 신왕한 명이고 유월에 태어나 년천간에 투출한 신축이 칠살이다.
喜得丙子合辛丑之殺 乃貴而有權
희득병자합신축지살 내귀이유권
기뻐할 것은 병자시와 신축년이 칠살을 합하는 것으로 귀하고 권위가 있게 되었다.
신약살왕 사주의 예
如 甲午 丙寅 庚子 丙子 此命身弱
여 갑오 병인 경자 병자 차명신약
예를 들어 갑오년 병인월 경자일 병자시의 신약 명이 있다.
丙 庚 丙 甲
子 子 寅 午
見火局 又見月令丙寅七殺
견화국 우견월령병인칠살
화국을 만났고 월령에 병인 칠살이 있다.
時又見丙子 火剋庚金
시우견병자 화극경금
시주에 병자가 화가 경금을 극하고
金死於子 身弱殺旺
금사어자 신약살왕
(경)금은 자수에서 사지가 되니 신약하고 칠살이 왕하게 되었다.
又無制伏 宜乎帶病貧薄
우무제복 의호대병빈박
더불어 제복하는 기운이 없으니 마땅히 병이 따라다니고 가난하고 박복하였다.
신왕살왕 사주의 예
如 丁巳 戊申 壬子 戊申 此命身旺
여 정사 무신 임자 무신 차명신왕
예를 들어 정사년 무신월 임자일 무신시의 신왕한 명이 있다.
戊 壬 戊 丁
申 子 申 巳
見二戊爲七殺
견이무위칠살
두 개의 무토가 칠살이다.
引歸於巳 丁與壬合 戊與癸合
인귀어사 정여임합 무여계합
사화에서 투출한 정화와 임수가 합을 하고 무토와 계수도 합을 한다.
金又長生於巳 戊祿在巳
금우장생어사 무록재사
금은 사화의 장생지이고 무토의 록지는 사화가 되니,
乃壬戊二字俱旺 所以貴也
우임무이자구왕 소이귀야
임수와 무토 두 글자 모두 왕성하게 되었으니 이에 고귀하다 할 수 있다.
'명리 중급 >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급] 십성 관성론 5편 - 오행과 관성 (직장/직업을 중심으로) (0) | 2023.01.18 |
---|---|
[중급] 십성 관성론 4편 - 편관(칠살)과 명리약언(命理約言) (0) | 2022.12.12 |
[중급] 십성 관성론 2편 - 정관과 명리약언(命理約言) (0) | 2022.11.25 |
[중급] 십성 관성론 1편 - 정관과 연해자평(淵海子平) (0) | 2022.11.14 |
[중급] 십성 인성론 5편 - 인성(印星)과 천간 십성 관계 (4) | 2022.11.02 |